맨위로가기

튀니스 정복 (153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니스 정복 (1535년)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오스만 제국의 해적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이 점령한 튀니스를 탈환하기 위해 벌인 군사 작전이다. 1534년 바르바로스가 튀니스를 점령하고 해군 기지를 건설하여 지중해를 위협하자, 카를 5세는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1535년 튀니스를 공격했다. 카를 5세는 제노바 함대의 지원을 받아 라 굴레트를 함락시키고 튀니스를 점령했지만, 바르바로스는 알제리로 피신했다. 이 전투로 튀니스에서 약 3만 명이 사망했고, 오스만 제국은 프랑스와의 동맹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튀니스는 이후 오스만 제국과 스페인 간의 쟁탈전 끝에, 1881년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튀니스 정복 (1535년)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관련 전쟁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오스만-포르투갈 분쟁
오스만-몰타 전쟁
시기1535년 6월
장소튀니스 (현 튀니지)
결과합스부르크 연합군의 승리
영토 변경하프스 왕조의 물레이 하산을 튀니스의 통치자로 복권시키고 합스부르크가의 속국으로 복원
교전 세력
교전국 1
나폴리 왕국
시칠리아 왕국

[[파일:Generieke vlag van Vlaanderen.svg|18px]] 플란데런 백국
포르투갈 왕국


몰타 기사단
교전국 2[[파일:Flag of the Ottoman Empire (1844–1922).svg|24px]] 오스만 제국
프랑스 왕국
지휘관
지휘관 1카를 5세
안드레아 도리아
알폰소 다발로스
알바로 데 바산
가르시아 데 톨레도
알바 공작
베하 공작
지휘관 2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
병력 규모
병력 1총 병력: 30,000명~60,000명
스페인군 10,000명
독일군 8,000명
이탈리아군 8,000명
포르투갈군 1,500명[4]]
몰타 기사단 700명
플란데런군 불명
전 함대: 398척
전함 207척[5]]
병력 2전함 82척[6]]
갤리선 2척[7]]
피해 규모
피해 1불명
피해 2무슬림 시민 30,000명 사망
기독교도 9,000명 해방
시각 자료
라 골레타 공격
키리스교 연합 함대의 라・골레타 공격
1535년 튀니스에 입성하는 카를 5세
1535년 카를 5세의 튀니스 입성

2. 배경

1534년 튀니스 정복으로 오스만 제국튀니지를 장악하면서 지중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오스만 제국술탄 쉴레이만 1세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대규모 함대를 건조하도록 명했고,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은 이 함대를 이끌고 1534년 튀니스를 정복하여 하프스 왕조의 통치자 물레이 하산을 축출했다. 이로 인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튀니스 탈환을 위한 원정을 준비하게 되었다. 한편,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는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 때문에 카를 5세의 요청을 거부하고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2. 1. 오스만 제국의 확장과 바르바로스 하이레딘

1533년, 오스만 제국술탄 쉴레이만 1세알제에서 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를 불러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대규모 전투 함대를 건조하도록 명령했다.[48] 그해 말부터 이듬해 겨울까지 유대인 2,000명을 포함한 노예들이 노잡이로 동원되어 총 70척의 갤리선이 건조되었다.[49]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은 이 함대를 이끌고 이탈리아 해안을 습격한 뒤, 1534년 8월 16일 튀니스를 정복하고 당시 스페인에 복종하던 하프스 왕조의 통치자 물레이 하산을 축출하였다.[50][51] 그는 튀니스에 강력한 해군 기지를 구축하여 튀니스 일대 지역은 물론 바다 건너 몰타섬 습격에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50]

2. 2. 신성 로마 제국의 대응과 카를 5세

1534년 튀니스 정복 소식을 들은 신성로마제국 황제 카를 5세는 즉시 튀니스 탈환 준비에 나섰다. 개신교도들이 노잡이로 동원된 갤리선 74척을 비롯한 전함 300척, 군인 30,000명을 소집해 안트베르펜에서 출항하였다.[52] 당시 동원된 전함 중에는 구호기사단의 산타 안나 호와 세계 최강으로 꼽히던 포르투갈 갤리온선 상 주앙 바프티스타 호가 있었다.[53] 카를 5세가 튀니스 정복을 위해 투입한 군자금은 100만 두카트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다뉴브강에서 쉴레이만 1세의 대군을 상대로 벌인 전역에 들어간 비용과 맞먹는 수준이었다.[54]

때마침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신대륙에서 돌아온 갤리온선이 200만 금화를 싣고 돌아오면서 군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금화의 출처는 스페인 정복자 프란시스코 피사로잉카 제국 황제 아타우알파를 석방한 대가로 뜯어낸 것이었다. 금화를 넘겨받은 피사로는 아타우알파를 다시 잡아들여 1533년 8월에 처형하였다.[54]

한편,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는 카를 5세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프랑스군을 원정군에 지원하지 않았다. 프랑수아 1세는 그 이유로 1533년 오스만 제국 사절단을 맞이한 뒤 바르바로스와 3년간 휴전을 맺었다고 밝혔다.[55] 또한 프랑수아 1세는 1534년 오스만 사절단 방문 이래 쉴레이만 대제와 카를 5세의 합스부르크가에 협공하기 위한 작전을 논의중에 있었다. 프랑수아 1세는 원정 기간 동안 같은 기독교 국가 간에 싸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 달라는 교황 바오로 3세의 요청에만 동의하였다.[55]

2. 3. 프랑스의 입장

프랑수아 1세는 신성로마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원정군 지원 요청을 거부했다. 그는 1533년 오스만 제국 사절단을 맞이한 뒤 바르바로스와 3년간 휴전을 맺었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55] 또한 프랑수아 1세는 1534년 오스만 사절단 방문 이래 쉴레이만 대제합스부르크가에 대한 협공 작전을 논의하고 있었다. 프랑수아 1세는 원정 기간 동안 기독교 국가 간의 싸움을 피하게 해달라는 교황 바오로 3세의 요청에만 동의했다.[55]

3. 전투

1535년 6월 1일, 카를 5세제노바 함대의 지원을 받으며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의 함대를 격파하고 라 굴레트를 성공적으로 포위 공격하여 튀니스를 점령했다. (→ '''라 굴레트 공방전, 튀니스 함락과 학살'''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이 전투의 승리로 합스부르크 왕조는 힘을 과시했다. 카를 5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이탈리아 남부, 시칠리아, 스페인, 아메리카 식민지,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독일 등 광대한 영토를 통치하고 있었다.

튀니스에서의 패배는 오스만 제국이 합스부르크 왕조에 대항하기 위해 프랑스와의 동맹을 체결하는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 대사 장 드 라 포레가 콘스탄티노플로 파견되어 오스만 궁정 최초의 상임 대사로서 동맹 조약 협상에 나섰다.[58]

카를 5세는 1536년 4월 튀니스에서의 승전을 기념하는 개선식시칠리아로마에서 거행하였다.[59][60][61]

3. 1. 라 굴레트 공방전

카를 5세제노바 함대의 호위를 받으며 사르데냐에서 출항하여 1535년 6월 1일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의 함대를 격파했다. 이후 튀니스 인근 라 굴레트를 공격했다. 이 전투에서 포르투갈 갤리온선 상 주앙 바프티스타 호는 항구 입구에 쳐진 사슬을 부수고 튀니스에 포격을 가하는 공을 세웠다. 한편 스페인군은 전장에서 프랑스 백합 문양이 새겨진 대포알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의 협력을 보여주는 증거였다.[56]

이 과정에서 튀니스 내부에서는 약 3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57]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은 오스만군 수천 명과 함께 알제로 피신하였으며, 물레이 하산은 복권되었다. 시체의 악취가 너무 심했던 관계로 카를 5세는 곧바로 튀니스를 떠난 뒤 라데스에 작전본부를 마련하였다.

라 굴레타의 스페인 총독 루이스 페레스 바르가는 튀니스의 방어력 강화를 위하여 1546년부터 1550년까지 튀니스호 내부에 위치한 치클리섬에 요새를 건설하였다.

3. 2. 튀니스 함락과 학살

제노바 공화국 함대의 호위를 받으며 가톨릭 연합군의 선두에 선 카를 5세는 사르데냐에서 출항하여 1535년 6월 1일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의 함대를 격파했다. 이후 튀니스 인근 라 굴레트를 포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튀니스를 점령했다. 이 전투에서 포르투갈 갤리온선 상 조앙 바프티스타 호는 항구 입구에 쳐진 사슬을 부수고 튀니스에 포격을 가하는 공을 세웠다. 한편 스페인군은 전장에서 프랑스 백합 문양이 새겨진 대포알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곧 프랑스가 합스부르크가에 반목하고 오스만 제국과 협력 관계에 들어갔음을 의미했다.[56]

튀니스 점령 과정에서 약 3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57]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은 오스만군 수천 명과 함께 알제로 피신하였으며, 물레이 하산은 복권되었다. 도시에 널린 시체의 악취가 너무 심했던 관계로 카를 5세는 곧바로 튀니스를 떠난 뒤 라데스에 작전본부를 마련하였다.

4. 여파

바르바로사는 안나바 항구에서 대기 중이던 함대와 합류하여 튀니지를 탈출했다. 이후 바르바로스는 스페인 마온을 약탈하고 600명의 노예를 데리고 알제로 돌아왔다.[62]

이후 튀니지의 역사는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주요 사건들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비고
1569년오스만 제국의 튀니스 탈환
1573년스페인의 튀니스 재점령오스트리아의 욘 지휘
1574년오스만 제국의 튀니스 재점령
19세기 초바르바리 해적 진압튀니스 사병들의 약탈 종식
1830년프랑스의 알제 침공프랑스령 알제리 성립
1881년프랑스의 튀니지 보호령화


4. 1. 합스부르크 왕조의 위상 강화

1535년 튀니스 정복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위상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카를 5세는 신성 로마 제국 외에도 남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 스페인, 아메리카 대륙의 식민지,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독일 등 광대한 영토를 다스리고 있었다.[35] 튀니스 공격 성공은 그의 권위를 더욱 강화했다.

튀니스를 잃은 오스만 제국의 술레이만 1세는 합스부르크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프랑스와의 동맹을 추진했다. 프랑스 대사 장 드 라 포레가 콘스탄티노플로 파견되었고, 이후 오스만 궁정에 프랑스 대사가 상주하며 조약 체결을 준비했다.[36]

1536년 4월 5일, 카를 5세는 로마에서 "이교도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는 개선식을 거행했다.[37][38][39] 라 구레트의 장관이 된 루이스 페레스 발가는 1546년과 1550년 두 차례에 걸쳐 튀니스 호수 내의 치클리 섬을 요새화하여 튀니스의 방어 체제를 강화했다.

4. 2. 프랑스-오스만 동맹 강화

튀니스를 잃은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 왕조에 대항하기 위하여 프랑스와의 동맹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프랑스에서는 장 드 라 포레를 대사로 오스만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로 파견하였으며, 그는 오스만 궁정 최초의 상임대사가 되어 동맹 조약 협상에 나섰다.[58]

4. 3. 이후의 분쟁

바르바로스는 안나바 항구에서 대기 중이던 함대와 합류하여 튀니지를 탈출했다. 이후 바르바로스는 스페인 마온을 약탈하고 600명의 노예를 데리고 알제로 돌아왔다.[62]

1569년 오스만 제국은 튀니스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스페인은 1573년 오스트리아의 욘의 지휘 아래 튀니스를 다시 점령했지만, 1574년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 다시 잃었다. 이후 튀니스의 사병들이 기독교 선박과 충돌하며 약탈을 일으켰다. 이러한 습격은 지중해 전역에서 벌어졌으며, 19세기 초 바르바리 해적이 완전히 진압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1830년 프랑스는 알제를 침공하여 프랑스령 알제리를 세웠고, 1881년에는 튀니지를 보호령으로 삼았다.

4. 4. 프랑스의 튀니지 지배

오스만 제국은 1569년 튀니스를 재탈환했다. 스페인은 오스트리아의 욘의 지휘 하에 1573년 다시 튀니스를 점령했지만, 1574년에 다시 잃었다. 그 후 튀니스의 사략선들은 기독교 선박에 대해 분쟁을 일으켰다. 지중해에서의 약탈은 19세기 초 바르바리 해적이 진압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1830년 프랑스 침공으로 프랑스령 알제리가 설립되었고, 결과적으로 프랑스는 1881년 튀니지에 대한 보호령을 만들었다.

5. 갤러리

5. 1. 라 굴레트 전투

라 굴레트 포격


라 굴레트 공격


1535년 튀니스 전투


기독교도 노예 2만 명 해방


라데스로 향하는 카를 5세


1535년 교황 바오로 3세에게 튀니스 함락을 알리는 카를 5세


얀 코르넬리스 페르메이언이 그린, 튀니스를 정복하는 제국군 (1535년)


1535년 튀니스를 정복하는 오스만 군

5. 2. 튀니스 함락과 이후



바르바로스 하이레딘은 어떻게든 안나바까지 도망쳐 자신의 함대에 합류했다. 그는 보복으로 발레아레스 제도마오를 습격하여(마오 약탈), 6,000명을 노예로 삼아 알제로 끌고 갔다.[40]

1574년, 오스만 제국은 튀니스를 재점령했다. 임명된 튀니스의 베이는 반독립 상태였으며, 19세기까지 지중해에서 사략 활동을 계속했다. 1613년 무라드 왕조, 1705년 후사인 왕조가 성립했지만, 모두 명목상으로는 오스만 제국 하의 군후국 (베이리크)이었다. 1830년, 프랑스알제리를 정복하고 프랑스령 알제리를 설치한 후 튀니지에도 침공하여, 튀니스 해적의 활동은 종결되었다. 1881년, 후사인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Empires of the Sea faber and faber 2008
[2]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s://books.google[...]
[3] 서적 O galeão S. João (c. 1530–1551). Dados para uma monografia Cascais 1999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8] 간행물 Emperor vs. Pirate Tunis, 1535 2014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Il Palazzo di Fabrizio Colonna a Mezzocannone https://books.google[...]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18]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s://books.google[...]
[19] 서적 De fasti et triumphi Romanorum a Romulo usque ad Carolum V https://books.google[...] Giacomo Strada 2013-08-22
[20] 논문 Imperial Ideology in the Triumphal Entry into Lille of Charles V and the Crown Prince (1549) http://www2.tau.ac.i[...] 2013-08-20
[21] 서적 Chivalry & the Perfect Prince: Tournaments, Art, and Armor at the Spanish Habsburg Court https://books.google[...]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2013-08-20
[22]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23]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s://books.google[...]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Il Palazzo di Fabrizio Colonna a Mezzocannone https://books.google[...]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36]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s://books.google[...]
[37] 서적 De fasti et triumphi Romanorum a Romulo usque ad Carolum V https://books.google[...] Giacomo Strada 1557
[38] 저널 Imperial Ideology in the Triumphal Entry into Lille of Charles V and the Crown Prince (1549) http://www2.tau.ac.i[...] 2001
[39] 서적 Chivalry & the Perfect Prince: Tournaments, Art, and Armor at the Spanish Habsburg Court https://books.google[...]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2008-01-15
[40]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41] 서적 Empires of the Sea faber and faber 2008
[42]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s://books.google[...]
[43] 간행물 O galeão S. João (c. 1530–1551). Dados para uma monografia Cascais 1999
[44] 문서 지중해 소함대 갤리선 15척, 칸타브리아 함대 42척, 말라가 소함대 150척
[45] 문서 Crowley, p. 61
[46] 문서 Garnier, p. 96
[47] 뉴스 Emperor vs. Pirate Tunis, 1535. 2014
[48] 문서 Crowley, p. 56
[49] 문서 Crowley, p. 57
[50] 문서 Crowley, p. 58
[51] 문서 Also known as Muleassen in Italy, and Abu-Abd-Allah-Mohammed-el-Hasan in Tunis. https://books.google[...]
[52] 문서 Crowley, p. 59
[53] 문서 Crowley, p. 60
[54] 문서 Crowley, p. 62
[55] 문서 Garnier, pp. 94–95
[56] 문서 Crowley, p. 60
[57]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58]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59] 서적 De fasti et triumphi Romanorum a Romulo usque ad Carolum V https://books.google[...] Giacomo Strada 1557
[60] 저널 Imperial Ideology in the Triumphal Entry into Lille of Charles V and the Crown Prince (1549) http://www2.tau.ac.i[...] 2001
[61] 서적 Chivalry & the Perfect Prince: Tournaments, Art, and Armor at the Spanish Habsburg Court https://books.google[...]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2008
[62]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